본문 바로가기

사주기초

(2)
오행 오행(五行) B.C. 770. 오행론(五行論)은 서경(書經)의 제 1편 홍범구주(洪範九疇)에서 처음 나오는데, 천지간의 기(氣)를 오행이라는 대명사로 나눈 것이 목(木), 화(火), 토(土), 금(金), 수(水)이다. 木 - 용출(湧出)과 용력(勇力) : 봄의 용출과 용력작용 火 - 분산(分散)과 분열(分裂) : 여름의 분산과 분열작용 土 - 조절(調節)과 중화(中和) : 사계절(辰戌丑未月)의 토의 조절작용 金 - 수렴(收斂)과 견고(堅固) : 가을의 수렴과 견고작용, 숙살지기(肅殺之氣) 水 - 수장(收藏)과 응고(凝固) : 겨울의 수장과 응고작용 오행상생법(五行相生法) 목생화(木生火), 화생토(火生土), 토생금(土生金). 금생수(金生水), 수생목(水生木), 오행상극법(五行相剋法) 금극목(金剋木), 목극..
명리학 입문 *명리학입문(命理學入門) 역학(易學)이란 천문(天文)과 지리(地理)를 살피고 사물의 오묘한 이치를 연구하여 천지간의 운행(運行)이 모두 하나 의 보편적인 법칙에 있다는 것을 깨닫고, 천문과 지리를 통하여 인사(人事)를 밝힌 학문입니다. 사주학(四柱學)이란 천문과 지리를 살피고 오랜 사색 속에서 십간(十干)과 십이지(十二支)라는 기호를 통해 인간관계 의 일을 밝힌 학문입니다. 사주를 배우게 되면 부귀빈천(富貴貧賤)을 알고, 수명(壽命)의 장단(長短)을 알며, 성정(性情)을 알고, 질병(疾病)을 알며, 가계(家系)를 알고, 직업(職業)을 알며, 환경(環境)을 알고, 운로(運路)를 연구하여 추길피흉(趨吉避凶)할 수 있습니다. 수많은 사람들이 명리학(命理學)에 도전하나, 잡서(雜書)와 잡설(雜說)들에 현혹되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