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5)
三災 三災 三合의 첫글자를 冲함으로 三災, 이시기에 三合의 해체, 이동이나 변동의 조짐이 온다. 驛馬 : 정반대 운동의 힌트를 주는 것. 통신, 외부환경 변화로 인한 이동,변동등. 六害 : 반대운동의 왕이 왔으니 매달리고 사정하고 숨겨서 타협을 해야하는 불안한 상태. 華蓋 : 빛날화,덮을개. 가장 가치있는 것을 가장 좁은 공간에 담아놓은 것. 내마음대로 사회적 뜻을 펼치지 못할 징조. 주변환경 때문에 하는수 없이 변동할 상황, 여러 가지 혼란요소나 궤도수정의 상황이 생긴다. 가장 활동이 위축되어 있는 공간, 엎드려야 한다.
八字解釋의 수단 八字解釋의 수단 陰陽的 요소 - 調候(五行的 요소) - 干支글자 해석 - 陰陽五行의 조합, 六親. 神殺的 요소 : 天干:天干. 天干:地支(空亡,12運星,貴人), 地支:地支(12神殺,合冲刑破害). 天干:天干 - 合, 生克, 三奇(甲戊庚, 乙丙丁, 辛壬癸) - 中和나 調節,꿈이 한쪽으로 모여있음. 甲(初春,초봄), 戊(중앙에서 잡아주는 인자), 庚(초가을)의 널뛰기 하는 모양. 시작,결실,중화. 끝없이 생산,발산,수렴의 운동을 만들어 주는 것. 쉬지않고 움직임. 陽운동,陽的속성으로 女는 긍정적으로 사용, 男은 정신이 충일한 것. 乙(만월. 반대편 庚(초생월)), 丙(日), 丁(星). 해지고 달뜨고, 달지고 별뜨고, 별지고 해뜨고. 불을 켜놓고 산다, 문명이나 밝음의 뜻을 계속 지향하는 사람. 인생목표가 한쪽..
오행 오행(五行) B.C. 770. 오행론(五行論)은 서경(書經)의 제 1편 홍범구주(洪範九疇)에서 처음 나오는데, 천지간의 기(氣)를 오행이라는 대명사로 나눈 것이 목(木), 화(火), 토(土), 금(金), 수(水)이다. 木 - 용출(湧出)과 용력(勇力) : 봄의 용출과 용력작용 火 - 분산(分散)과 분열(分裂) : 여름의 분산과 분열작용 土 - 조절(調節)과 중화(中和) : 사계절(辰戌丑未月)의 토의 조절작용 金 - 수렴(收斂)과 견고(堅固) : 가을의 수렴과 견고작용, 숙살지기(肅殺之氣) 水 - 수장(收藏)과 응고(凝固) : 겨울의 수장과 응고작용 오행상생법(五行相生法) 목생화(木生火), 화생토(火生土), 토생금(土生金). 금생수(金生水), 수생목(水生木), 오행상극법(五行相剋法) 금극목(金剋木), 목극..